직장을 떠나고 다른 직장을 찾을 때 드는 생각들......
직장을 떠날 때, 그 직장에 첫 발을 내디덨던 그 순간을 떠올린다. 열정, 도전, 설렘, 두려움, 자신감, 기대감, 벅차오르는 합격의 기쁨 등이 스쳐 지나간다. 그런데, "그런 그곳을 왜 떠나야 하는 걸까?" 이런 질문을 계속할 수밖에 없다. 부, 명예, 권력 등 이런 것들을 두고 더 나은 곳으로 가려는 것이라면 과연 더 좋을까? 이는 스스로 답을 찾아야 하는 것일 텐데. 과연 이런 질문에 답을 찾는 이는 있을까? 슬픈지만 없을 것 같다. 그래서인지 오늘은 소주 한잔을 걸치고 초취 한 모습에 잠 못 이루고 나를 불러 다리를 주물러 달라고 하시던 아버지가 더욱 보고 싶다. 그리고 한편으로 죄송한 마음이 나의 가슴을 때린다. 그마음이 다시 모자라고 부족한 자아인 나를 더욱 누른다. 그러면서 ..
2025. 3. 30.
성인 교육자의 역할
성인 교육자의 역할은 상담자, 지도자, 동반자, 촉진자, 교수자, 시범자, 관찰자, 조언자, 숙달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교육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나름의 역할을 수행한다. 때로는 한가지 역할만 수행하는가 하면 두 가지 이상의 역할을 혼합하며 수행한다. 직장에서도 이런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문제는 꼰대의 이미지, 개념 등의 선입견이 있는 학습자인 후배 직원을 교육할 때이다. 과거 경험을 이야기하지 않고서는 실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가령, 과거의 경험에 현재의 기술을 접목해서 말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과거형을 사용하는 순간 귀를 닫는다. 이는 선배 경험의 가치를 이해 못 하는 데서 기인한다. 즉, 그때는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이라는 생각과 언제 적 일을 말하는 거냐는 확신이 자리 잡..
2024.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