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2

직장 관계 속에서의 도덕성_슬기로운 직장인 직장이라는 사회관계 속에서 도덕성이란 인품, 성품, 긍정적 마음가짐 등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과정에 매몰되어 결과를 등한시하게 된다. 또한 중도 포기자들에게 이쁘게 포장된 변명의 선물 상자를 주게 된다. 물론 과정에서 인신 모독이나 인간적 모멸감을 주는 행위는 제외된다.  여기서 말하는 사회 속에서의 도덕성은 약속을 지키려는 의지와 이를 지키지 못했을 때 발현하는 부끄러움이 있는지에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를 이행하는 행동에 있다. 이는 관계 속에 있는 관계인들 모두에게 적용된다. 때론 상하, 좌우가 바뀌는 변화무쌍한 사회에서 중요한 관점이다.  따라서 직장 관계 속에서의 도덕성이란 개념을 상호 간 합의가 필요하다. 이는 처음 관계를 맺는 시점부터 상호 간 일치 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2024. 4. 26.
존댓말로 말하면 무례 하지 않은가?_슬기로운 직장인 존댓말 속에는 타인을 대하는 태도, 존중이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태도와 존중 없이 존댓말로 모든 것이 들어 있는 것처럼 말하고 생각하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필자가 정의 내린 이들은 웃으면서 때리는 일진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어찌 보면 더 악질로 생각된다. 일진들을 욕하면 모두가 수긍하지만, 이들을 욕하면 욕하는 이가 욕을 먹는다. 일종의 사회생활 고수이다.따라서 피해야 한다.관계를 줄여야 한다.같이 웃어 줘야 한다. 2024. 4. 26.
대화는 유의어, 동의어, 문장, 단락 등 맥락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_슬기로운 직장인 대화는 업무 수행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대화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생각보다 많다. 그 이유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맥락의 이해보다 한 단어에 집중한다. 또한 유의어, 동의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본인이 사용하는 단어에 최적화된 뇌 회로가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를 소화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그 로딩 시간 보다, 대화의 속도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둘째, 상대의 의견, 생각, 취지 등을 이해하려는 의지, 태도가 부족하다. 대화는 상대의 반응을 관찰하면서 진행해야 한다. 그래야 대화의 방법을 변경하면서 진행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의 방식으로만 전달하려 하니 대화가 연결될 수가 없다. 2024. 4. 26.
일관성 있는 인사 방침이 정의다_슬기로운 직장인 인사 기준이 수립되면 지키는 것이다. 이것이 justice이다. 그러나 생물처럼 진화하는 회사에서 가능한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지켜질 것이다. 이번 인사 방침이다.  그때, 그때 변경되는 인사 방침이 방침이라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경영진의 의도, 의중을 일개 사원이 어떻게 가늠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일개 사원도 그때, 그때 순리에 순응하면서 생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생존을 위한 HR(Human Resource)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HR은 성장을 앞에, 도태는 뒤에, 보상은 우측에, 처벌은 좌측에, 압박은 중앙에 두고 선해 보이는 앞과 우측만 자신들의 입으로 말한다.  HR 분야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 중 하나가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는 인재가 아닌 인재를 솎아내는.. 2024. 4. 26.
직장 내 덕은 선택하는 것인가, 선택되는 것인가?_슬기로운 직장인 선택하는 경우 자신의 생각에 따라 결정한다는 의견과 타인의 강요, 분위, 위계 등에 따라 결정하여도 결국 자신의 선택이라는 의견도 있다. 후자의 경우도 본인이 결국 결정하니 본인의 생각으로 본다는 견해이다. 그러나 결정하는 순간에 무엇에 기인하여 그 선택에 도달했는지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선택한 결과만이 기억 속에 남아 있다.이는 선택이라는 과정보다 결과에 더욱 많은 기억을 할애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결과는 찰나이고 과정은 고난의 행군인 것을 간과하고 있다. 그 결과가 과연 내가 만든 건지, 남이 만들어 주었는지도 중요하지 않고, 그 결과만이 그 사태를 인지, 평가하게 된다. 즉, 결과가 선택을 결정한다. 2024. 4. 26.
신입사원의 침묵_슬기로운 직장인 침묵 이면에는 여러 심리가 숨어있다. 그리고 이 심리의 이면에는 침묵이라는 울타리에서 나오고 싶어하는 심리가 있다. 그래서 신입사원의 침묵은 슬픈 침묵이다.그 슬픔은 무서움, 두려움, 외로움에 기인한다.무서움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상사를 포함한 직원들의 언어와 비언어적 대화에서 느끼는 공포가 그들을 무서움에 떨게한다.두려움은 인간관계에서 자신들의 위치가 어떻게 정해질지에 대한 두려움이다. 학교에서 보거나 자신이 그러했을 주변인, 왕따가 지금의 회사에서 자신이 되지 않을까하는 그 두려움은 최고의 긴장감을 준다.외로움은 부서원 안에서 느끼는 고독이 불러온다. 자신의 감정을 공감하고 이야기 나눌 사람이 그립기에 그 외로움은 블랙에 가깝다.신입사원의 침묵은 자의든 타의든 상관없다.침묵속에서 외칠 때 상대는.. 2024. 4. 25.
반응형